문화일반

 '오징어게임 시즌3' 공개 직후 넷플릭스의 사용자 지표가 급격히 상승했으나, 그 효과는 단기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지에이웍스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오징어게임 시즌3 공개 이후 넷플릭스의 일간 활성 사용자 수(DAU), 앱 신규 설치 건수,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이 모두 급증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구체적인 수치를 살펴보면, 시즌3 공개일인 지난달 27일 넷플릭스의 DAU는 414만2663명으로, 일주일 전인 20일(315만934명)보다 약 99만 명이 증가했다. 이는 공개 전날과 비교해도 97만 명 이상 늘어난 수치다. 앱 신규 설치 건수도 공개 일주일 전 1만807건에서 공개일에는 2만5830건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다음날인 28일에는 2만9808건까지 치솟았다.

 

사용자들의 콘텐츠 소비 시간도 크게 늘었다. 1인당 평균 이용시간은 20일 기준 68.32분이었으나, 시즌3 공개 다음날인 28일에는 80.42분, 29일에는 84.37분으로 증가하며 9일 동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상승세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DAU는 공개일 이후 매일 하락세를 보이며 이달 1일에는 323만3230명으로 콘텐츠 공개 전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앱 신규 설치 건수도 28일 정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이달 1일에는 1만4951건으로 공개 전 수준보다 낮아졌다. 1인당 평균 이용시간 역시 7월 첫날 70.4분을 기록하며 공개 전인 지난달 21일(71.45분)보다 감소했다.

 

이러한 데이터를 두고 업계에서는 상반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징어게임 시즌3의 공개 효과가 예상보다 크지 않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시즌3가 글로벌 톱10 시리즈(비영어) 1위를 차지하고 공개 첫 주 93개국에서 1위를 기록하는 등 국제적으로는 성공을 거두었지만, 국내에서는 관심도에 비해 실제 유입량이 저조했다는 것이다.

 


반면, 시즌2 공개 직후 DAU가 각각 412만8302명과 372만8758명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시즌3는 이를 상회하는 수치를 보여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도 있다. 단순 DAU 수치만 비교해도 시즌3가 시즌2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유입시켰다는 점에서 공개 효과 측면에서는 더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콘텐츠업계 관계자는 "오징어게임 시즌3는 시리즈의 마지막 이야기를 담고 있어 공개 전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던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사의 전개나 결말을 두고 호불호가 엇갈리면서 예상보다 관심도나 파급력이 낮다는 평가도 있지만, 여전히 국내외에서 굿즈, 체험존 등 다양한 형태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어 앞으로도 꾸준히 회자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오징어게임 시즌3'는 단기적으로는 넷플릭스 이용 지표에 강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효과가 지속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OTT 시장에서 콘텐츠의 생명주기가 짧아지고 있는 현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시리즈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작품에 대한 팬들의 즉각적인 반응이 수치로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징어게임'은 넷플릭스의 대표적인 글로벌 콘텐츠로서 시즌3를 통해 다시 한번 그 영향력을 입증했다고 볼 수 있다.